- 국내 보건의료인 대상 광자계수 CT의 최신 임상 사례 공유 및 글로벌 트렌드 공유
- 복부·심장·흉부 등의 진단 케이스부터 현장 데모까지 다양한 임상현장에서의 활용성과 효용성에 대해 논의
혁신적인 의료기술의 선두 기업인 지멘스 헬시니어스㈜ 한국법인 (https://www.siemens-healthineers.com/kr/)은 광자계수 CT의 대표 제품인 ‘네오톰 알파(NAEOTOM Alpha)’의 임상 적용 사례와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네오톰 알파 심포지엄(NAEOTOM Alpha Symposium)‘을 지난 5월 30일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영상의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광자계수 CT 기술의 발전 방향과 실제 임상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를 폭넓게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국내외 전문가들의 발표와 실시간 영상 데모가 이어져 참석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독일 본사 네오톰 알파 제품의 글로벌 마케팅 (NAEOTOM Alpha Global Marketing)을 총괄하는 파비안 아이자(Fabian Eisa) 박사의 발표로 시작됐다. 아이자 박사는 광자계수 CT 기술의 글로벌 임상 적용 현황과 향후 전망을 소개하며 기술 발전의 핵심 요소를 강조했다. 이어 실시간 라이브 송출을 통해 코펜하겐 대학병원(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의 마이클 브룬 안데르센(Michael Brun Andersen) 박사가 복부 영상 진단 분야에서의 임상 경험을 공유했다.
이후 네오톰 알파의 임상 경험을 소개하는 세션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 박은아 교수가 심장 영상 분야에서의 ‘네오톰 알파’ 임상 사례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창현 교수가 해당 제품의 흉부 진단 적용 사례를 발표하며, 각기 다른 임상 현장에서의 활용성에 대해 공유했다. 마지막으로는 애플리케이션 전문가가 직접 해당 제품의 영상 데모를 시연하며 현장 참석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한편, ‘네오톰 알파’는 2021년 상용화된 광자계수 CT로, 기존 CT와 달리 X선을 개별 광자 단위로 검출해 저선량으로 고해상도의 영상을 구현하는 차세대 CT 기술이다. 특히 심장, 폐, 복부 등 진단 난이도가 높은 부위에서 의료진의 정확한 판단을 지원하며, 국내외 주요 의료기관에서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이 기술을 통해 향후 수많은 환자에게 정밀 영상 진단의 가치를 제공한다는 비전을 밝힌 바 있다.
이명균 대표는 “이번 심포지엄은 광자계수 CT 기술의 임상적 유용성을 전문가들과 함께 확인하고, 실제 진료 현장에서의 인사이트를 나눌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국내외 의료진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영상의학 분야에서의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멘스 헬시니어스 소개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모두를 위해, 어디서든, 지속 가능하게(For everyone. Everywhere. Sustainably)’라는 기업 목표를 기반으로 의료 장비,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하며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전 세계 180여 개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지멘스 헬시니어스 그룹은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솔루션으로 영상진단, 체외진단, 암 치료, 최소 침습 치료 분야 등에 주력하며 소외된 지역 사회의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4년 9월 30일에 마감된 2024 회계연도 기준으로, 전 세계에 약 7만 20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224억 유로(한화 약 33조 491억 8,4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siemens-healthineers.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